복날에 왜 삼계탕을 먹나요? / 복날'(伏─)'의 유래
복날'(伏─)'의 유래
복날은 양력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사이의 초복, 중복, 말복을 모두 가리키는 말입니다.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을 초복(初伏), 네 번째 경일을 중복(中伏),
입추 후 첫째 경일을 말복(末伏)이라고 합니다.
복날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입니다. 이 시기에는 모든 농작물이 부쩍 자라는 때이기도 한데요.
복날의 복은 엎드릴 복(伏)자를 쓰며, 엎드릴 복자는 개 옆에 사람이 있는 모양의 한자입니다.
이를 풀이해보면 사람이 더위에 지쳐서 엎드려 있어야 할 정도로 더운 날이라는 해석과
사람이 개를 잡아먹는 날이라는 해석,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복날에 대한 기록이 처음 등장한 곳은 중국역사서 사마천의 『사기』입니다.
진나라의 덕공이 2년(기원전 676년)에 처음으로 복날을 만들어
개를 잡아 열독을 다스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복날 음식
일상 생활과 활동이 힘든 정도로 더운 까닭에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 영양가가 많은
고단백 음식을 먹어 영양분을 섭취하는데요.
이 기간에는 예로부터 수분과 단백질을 모두 섭취하기 위해
고기를 물에 끓인 국물 고기 요리를 주로 섭취했으며,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복날의 대표 음식은 삼계탕과 보신탕인데요.
이외에도 다양한 고기로 만든 각종 보양식을 먹기도 합니다.
공통적인 것은 고기를 뜨거운 물에 팔팔 끓여서 뜨거운 상태로 먹는 국물 요리라는 점인데요.
열을 열로 다스린다는 이열치열로 구성된 것이 특징입니다.
오늘날의 복날은 “닭요리를 먹는 날”로 인식이 되어 있는데요.
꼭 삼계탕이 아니더라도, 찜닭이나 불닭, 때로는 치킨을 먹으며
삼복 더위를 이기고자 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복날에 삼계탕 먹는 이유
기온이 올라가면 우리 몸은 땀을 배출해 열을 내보내고 체온을 유지합니다.
이때 수분·무기질 등이 함께 빠져나가 몸이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삼계탕의 재료인 닭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리 몸의면역 세포는 단백질로 이루어져있는데, 단백질이 부족할때 이를 잘 보충해주는 게 중요하죠.
함께 쓰이는 인삼·마늘 등의 재료도 몸에 좋습니다.
인삼의 사포닌 성분은 면역력을 높이고 피로감을 줄여줍니다.
마늘의 알리신은 세균을 죽이는 항균효과가 뛰어납니다. 비타민 B1 흡수를 도와 피로 개선에도 좋습니다.
하지만 고지혈증 환자나 비만인 사람은 삼계탕을 먹을 때 주의해야 합니다.
삼계탕은 한 그릇에 약 900kcal 입니다.
닭 껍찔을 빼고 먹는 게 좋고, 국물보다 건더기 위주로 먹어야 합니다.
국물에는 나트륨 함량이 매우 높기 때문 입니다.
'포고잡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위장 질환을 키우는 나쁜 습관들! (0) | 2021.09.13 |
---|---|
건강을 해치는 식사 후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습관들! (0) | 2021.09.13 |
'토착왜구' 유래와 의미/ 사례기사들 (0) | 2021.09.13 |
마그네슘 꼭 먹어야 하나요? 마그네슘 권장량/효능!!! (0) | 2021.09.13 |
때, 밀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때밀면 않좋다? (0) | 2021.09.13 |
댓글